주식투자에서 *“언제 사느냐”*는 *“무엇을 사느냐”*만큼이나 중요합니다. 특히 정해진 시간에만 거래가 가능한 국내 주식시장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활용해야 불필요한 실수를 줄이고 수익 기회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한국 주식시장 개장시간부터 장전·장후 시간외 종가매매, 동시호가, 시간외 단일가 거래 시간까지 모든 거래시간 정보를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 정규장 거래시간 (코스피·코스닥·코넥스 공통)
-
거래 가능 시간: 오전 9시 ~ 오후 3시 30분
-
적용 시장: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
-
특징: 하루 중 가장 활발하게 거래가 이루어지는 시간대로, 대부분의 투자자가 활동하는 메인 세션입니다.
📌 모든 기본 매매는 이 시간에 이루어지므로 주식투자의 중심축입니다.
✅ 장전·장후 시간외 종가 매매
-
장전 시간외: 08:30 ~ 08:40 (전일 종가 기준 거래)
-
장후 시간외: 15:40 ~ 16:00 (당일 종가 기준 거래)
-
체결 방식: 선착순 실시간 체결
장점: 시세 변동 없이 빠르게 거래 가능
단점: 거래량이 적어 주문이 체결되지 않을 수 있음
✅ 동시호가 (시초가/종가 결정 시간)
-
장 시작 전 동시호가: 08:30 ~ 09:00
-
장 마감 전 동시호가: 15:20 ~ 15:30
-
특징: 지정된 시간 동안 주문을 모아 한 번에 체결. 거래량 급증, 가격 변동 가능성이 높음
📌 시초가·종가 전략을 세우는 고수들이 즐겨 활용하지만, 초보자는 신중히 접근해야 합니다.
✅ 시간외 단일가 거래 (지정가 매매만 가능)
-
거래 시간: 오후 4시 ~ 오후 6시
-
체결 방식: 10분 단위 단일가 체결 (총 12회)
-
특징: 정규장 이후에도 매매 가능, 변동성 활용 전략에 유리
⚠ 단, 거래량이 적고 체결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리스크 관리가 필수입니다.
✅ 점심시간에도 거래 가능한가요?
네, **점심시간(12:00 ~ 13:00)**에도 주식 거래는 가능합니다.
하지만 기관·외국인 매매가 일시적으로 줄어드는 시간대이므로 거래가 다소 둔해질 수 있습니다.
📌 이 시간대는 관망 또는 분할매매 전략에 적합합니다.
✅ 2025년 국내 주식시장 휴장일 주요 일정
-
1월 1일 (신정)
-
1월 28~30일 (설날 연휴)
-
3월 1일 (삼일절)
-
5월 5일 (어린이날 대체휴일)
-
10월 6~8일 (추석 연휴)
👉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은 휴장입니다.
👉 명절 전후는 거래시간 조정 가능성이 있으므로 한국거래소 공지사항 확인 필수
✅ 주말에도 투자 가능한 방법은?
국내 주식시장은 주말에 열리지 않지만, 아래 자산은 주말에도 거래 가능합니다.
-
미국 주식: 한국 시간 기준 토요일 오전까지 거래 가능
-
암호화폐: 24시간 365일 거래 가능
⚠ 단, 해외 시장은 변동성이 크고 수수료가 높을 수 있으므로 충분한 학습 후 투자해야 합니다.
✅ 마무리 정리
주식투자에서 거래시간을 정확히 아는 것만으로도 큰 전략적 이점을 가질 수 있습니다.
2025년 국내 주식시장 시간표는 다음과 같이 정리됩니다:
-
정규장: 09:00 ~ 15:30
-
장전 시간외 종가: 08:30 ~ 08:40
-
동시호가: 08:30~09:00, 15:20~15:30
-
장후 시간외 종가: 15:40 ~ 16:00
-
시간외 단일가: 16:00 ~ 18:00
👉 오늘부터 실전 매매 전략에 시간표를 반영해보세요!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