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에도 청년층을 위한 월세지원, 자산형성 저축, 취업장려금 등 여러 맞춤형 정책이 시행되고 있는데요. 이 글에서는 지금 신청 가능한 2025년 청년지원금들을 한눈에 정리해 드립니다.

지금 바로 본인의 조건에 맞는 혜택을 확인해보세요!

📄 요약 테이블

분야 정책명 대상  혜택
자산형성 청년도약계좌 만19~34세 5년 후 약 5,000 만원
자산형성 청년내일저축 만19~34세 최대 1,440 만원
주거지원 월세지원 서울 청년 최대 240 만원
취업지원 근로장려금 저소득 근로자 최대 330 만원
취업지원 취업수당 구직청년 최대 120 만원
취업지원 도약장려금 중소기업 청년 최대 480 만원
취업·훈련 기술채움 재직 청년 훈련비·임금 지원
문화·교통 문화패스·교통비 서울 청년 최대 15만원 등
상담·교육 자격증·창업 청년 전층 다양 지원

✅ 1. 청년도약계좌

  • 대상: 만 19~34세, 소득·중위소득 요건 충족
  • 혜택: 월 최대 70만원 납입 → 정부 매칭 + 이자 + 비과세 → 5년 만기 시 약 5,000만원 마련 가능
  • 신청: 은행 앱(국민·신한·하나·우리 등), 매월 신청 가능

✅ 2. 청년내일저축계좌

  • 대상: 만 19~34세, 월소득·중위소득 기준 충족
  • 혜택: 월 10만원 저축 → 정부 매칭(매달 10~30만원) → 3년 유지 시 최대 1,440만원 수령
  • 신청: 2025년 5월 2~16일,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온라인 접수 

✅ 3. 청년월세지원

  • 대상: 만 18~34세 서울 거주 무주택 청년
  • 혜택: 월 최대 20만원 × 최대 12개월 지원 = 총 240만원 
  • 신청: 6월 9~20일, 서울시 자산형성지원사업 홈페이지 

✅ 4. 근로장려·취업 참여 지원

• 근로장려금

  • 저소득 근로자·사업자 가구 대상, 연 최대 330만원 지원

• 취업 참여수당

  • 만 18~34세, 기초생활수급자 등 대상
  • 월 최대 20만원×최대 6개월, 최대 120만원 지원 

✅ 5. 청년특화 취업·재직 지원

  • 국민취업지원제도 연계: 훈련+빈일자리 취업 시 최대 월 20만원, 취업성공수당 40만원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중소기업 정규직 채용 시 청년 최대 480만원, 기업 760만원 지원 
  • 기술채움 연수: 빈일자리 업종 2년 이상 재직 청년 대상, 훈련비 + 대체인력 인건비 지원 

✅ 6. 주거·교통·문화비 지원

  • 청년전세자금대출: 전세금 부담 완화 목적 상품 
  • 청년대중교통비: 교통비 절약 지원 
  • 청년문화예술패스: 만 19세 대상, 연 최대 15만원 문화비 지원 

✅ 7. 교육·창업·마음건강 등 복합 지원

  • 자격증 응시료, 진로·창업 컨설팅, 청년카페·센터 운영, 심리 상담비 등